아빠보너스제, 왜 ‘육아휴직 급여’와 동일하게 인상됐나?
아빠보너스제는 부모 중 두 번째 육아휴직자의 첫 3개월 급여를 높이는 특례였는데, 과거 적용자가 남은 육아휴직을 최근에 사용할 때 4개월 이후 급여가 일반 육아휴직보다 낮은 역전 현상이 있었습니다. 2025년 시행령 개정으로 이 불균형을 해소해 일반 육아휴직 급여와 동일하게 상향되었습니다.
2025년 급여표|아빠보너스제 = 육아휴직 급여(동일 적용)
| 구간 | 지급 비율 | 월 상한액 | 비고 | 
|---|---|---|---|
| 1~3개월 | 통상임금 100% | 월 최대 250만 | 사후지급금 폐지로 휴직 중 전액 지급 | 
| 4~6개월 | 통상임금 100% | 월 최대 200만 | 아빠보너스제도 동일 적용 | 
| 7개월~ | 통상임금 80% | 월 최대 160만 | 아빠보너스제도 동일 적용 | 
아빠보너스제 지원대상(요건)
- 부모 중 두 번째 육아휴직자로서, 만 8세(초2) 이하 자녀에 대한 육아휴직 사용
 - 피보험 단위기간 180일 이상 등 일반 육아휴직 급여 요건 충족
 - 과거 아빠보너스제 적용자도 남은 육아휴직을 2025-01-01 이후 사용 시 인상 금액 적용
 



아빠보너스제 필요서류
- 육아휴직 급여 신청서(온라인 작성 가능)
 - 사업주 발급 육아휴직 확인서
 - 통장사본, 신분증, 가족관계증명서(필요 시)
 
아빠보너스제 신청기간 및 방법(온라인 중심)
- 기한 : 육아휴직 시작 후 1개월~종료 후 12개월 이내(월별 또는 일괄 신청 가능)
 - 경로 : 고용24 또는 고용보험에서 온라인 신청(회사에서 ‘육아휴직 확인서’ 등록 필요)
 - 진행 팁 : 매월 신청이 가장 안전. 불가 시 종료 직후 일괄 신청
 
고용24에서 신청하는 방법
① 로그인 및 메뉴 이동
먼저 고용24 웹사이트(work24.go.kr)에 접속해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으로 로그인합니다.
상단 메뉴 또는 자주 찾는 서비스에서 출산휴가·육아휴직 → 육아휴직 급여 신청 메뉴로 들어갑니다.
② 사업주 ‘육아휴직 확인서’ 필수 제출
신청 전 사업주가 육아휴직 확인서를 반드시 제출해야 합니다. 미제출 시 “사업주 서류가 아직 제출되지 않았습니다”라는 문구가 나타나며 신청이 불가능합니다.
③ 신청서 작성 및 제출
확인서 제출 상태가 정상이라면 신청서 작성 단계로 넘어갑니다. 신청인 정보, 휴직 기간, 은행 계좌 정보, 자격확인 동의 등을 꼼꼼히 입력한 뒤 최종 제출합니다.
④ 신청 현황 및 통지 확인
제출 후에는 마이페이지 등에서 신청 현황(접수·처리·완료)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또한 민원신청 현황조회 메뉴에서 육아휴직 급여 신청서 및 통지서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.
2025년 변경 포인트
- 사후지급금 25% 폐지 → 휴직 기간 중 전액 지급
 - 육아휴직 최대 1년 6개월(’25.2.23~), 분할 사용 확대
 - 아빠보너스제 급여 → 육아휴직 급여와 동일 (4~6개월 100%, 7개월~ 80%)
 
주의사항
- 아빠보너스제 적용 여부와 무관하게, 2025-01-01 이후 사용분은 표와 동일한 상한/비율 적용
 - 회사 온라인 확인서 미제출 시 1회차 온라인 신청이 제한될 수 있음
 - 신청기한 지연 시 부지급 가능 → 기한 내 신청 필수
 
요약 체크리스트
- 급여 인상 : 4~6개월 100%(월 최대 200만), 7개월~ 80%(월 최대 160만)
 - 소급 적용 : 2025-01-01 이후 사용한 기간부터 반영
 - 사후지급금 폐지 : 육아휴직 급여 중 전액 지급(’25.1.1~)
 - 기간 확대 : 육아휴직 최대 1년 6개월(’25.2.23~), 분할 사용 확대
 - 신청 기한 : 시작 후 1개월~종료 후 12개월 이내
 



0 댓글